티스토리 뷰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의 역할은
'오프라인 매장의 응대서비스'와 같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방문한 고객이 머무르는 시간(체류시간)을 늘려야 매출을 올릴 수 있습니다.

애플 매장과 삼성 매장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애플매장에 가보신 분들은 아실겁니다.

MBTI 'I' 성향이 강한 저도 마음이 편할 정도로
직원의 서비스가 불편하지 않고 신뢰가 가고, 없던 구매 욕구마저 생깁니다.

반면, 삼성 매장은 애플에 비해 직원분들의 판매 성향이 강해서
꼭 사겠다는 망므을 먹은게 아니라면 가기가 꺼려지는게 사실이죠.
(구경하러만 가기는 좀 불편한..?)

똑같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데,
왜 애플 매장은 늘 사람이 많고, 더 오래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 느껴질까요?

정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매달 200개 이상 쇼핑몰의 상세페이지를 '컨설팅'하고 있는
쇼핑몰만마케팅합니다의 마케터 한승조라고 합니다.


애플은 고객 스스로도 모르는, 진짜 원하는 것을
디테일까지 파악해서 직원의 톤&매너, 매작 내 인테리어/분위기 등
모든 영역에 애플만의 서비스를 넣어 '간접적으로' 구매 욕구를 높이고 있습니다.

테이블의 간격, 높이까지 정확한 규격이 있을 정도로
고객을 신경 쓰는 애플만의 디테일이 숨어있죠.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카페24 - 접속통계]

그럼 우리 쇼핑몰은 어떨까요?
혹시 우리 쇼핑몰에 들어온 고객이 상세 페이지를 얼마나 보는지 아시나요?

정성껏 만든 상세 페이지에 '1초만에' 나간 사람이
이렇게 많다는 걸(평균 80% 이상) 알면 충격 받으실 수도 있겠네요.

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은 전략없이 '열심히만' 만들면 삼성 매장처럼,

고객이 원하는 거슬 파악해 '잘' 만들면 애플 매장처럼,
오래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30초 ~ 3분 미만]

구매 확률이 가장 높은 이 체류시간의 고객 수를 늘리는,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을 '잘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썸네일에 '스토리' 넣기

: 1초만에 나가는 비율을 줄이는 방법

[출처: 트렌디어페럴]

모든 쇼핑몰 상세페이지는 '썸네일'로 시작합니다.

즉, 임팩트 있는 이미지로 관심을 끌지 못하면,
고객은 스크롤조차 내려보지 않고 나갈겁니다.

저희 아니어도 쇼핑몰은 많으니까요.

Q. "그럼 뭐가 임팩트 있는 매력적인 이미지인가요?

A. 바로 '스토리'가 있는 이미지입니다.

아래 영상을 한번 봐주세요.

 

혹시 '스토리'의 의미가 뭔지 눈치 채셨나요?

네, '그 상품의 모든 매력을 디테일하게 전부 보여주는 썸네일'이
바로 스토리를 담은 썸네일입니다.

[스토리형 썸네일 만드는 방법]

1) 자동으로 움직이는 GIF는 X
직접 옆으로 넘기는 슬라이드 썸네일 O
: 임팩트 있는 이미지를 집중해서 볼 수 있게 만들어야 체류시간 증가.
2) 내 쇼핑몰의 컨셉에 어울리는 코디(스타일) 선정
3) (판매하는 상품이 돋보이는) 전신컷, 부분컷 이미지
4) )판매하는 상품이 돋보이는) 앞모습, 뒷모습, 옆모습, 상세컷 이미지
5) 전신, 부분, 상세컷으로 이어지는 '순서'를 고려한 업로드
: 전체 코디로 먼저 임팩트를 주고 다음 이미지를 궁금하게 만드는 전략

 

똑같은 상품이라도
1) 고객이 궁금한 모든 사진을 썸네일에서부터 보여주는 쇼핑몰과
2) 쇼핑몰 대표조차 고민하지 않은 썸네일을 보여주는 쇼핑몰.

스크롤을 내리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당연히 '구매율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2. (고객의 심리를 이용한) 판매가 표시

: 어떻게든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느껴지게 만들기

썸네일 속 샆움이 아무리 매력적이라도
가격에서 '거부감'이 드는 순간 구매율은 떨어집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이 거부감을 최대한 줄이며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계속 구경하도록 제작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판매가가 와닿지 않게 만들기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코코모코]

  • 정가 : 37,000원
  • 판매가 : 33,300원 (-10%)

정가, 판매가, 할인율을 모두 기재하여 '할인 받는' 느낌을
시각적으로 분명하게 보여주세요.

  • 50,000원 (X) → 49,800원 (O)
  • 50,000원 (X)   50,300원 (O)

위와 같이 가격이 ',000원'으로 끝나면,
고객이 가격 계산을 해보기 쉬워지고, 더 비싸다고 느끼게 합니다.

따라서, 100원 단위로 가격을 설정해 더 저렴하게 살 기회를 얻었다고 느끼게끔 만들어주세요.

2) 적립금 기재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트렌디어페럴]

단, 1%라도 손해가 아닌, 이익을 받는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
고객이 얻을 수 있는 모든 이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세요.

3) 무료 배송 기준 기재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 상드르]

소비자는 '무료 배송'에 민감하기에
무의식적으로 이 무료 배송 기준을 맞추려고 합니다.

하나 살 거 두개 사게 만들 수 있고,
함께 코디한 상품에 (무의식적으로) 눈이 가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4) 기간 한정 할인 시, '남은 기간' 표시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인챈트미]

지금이 아니면 할인을 못 받는다는 압박을 통해
상품에 대한 구매 욕구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3. 관련 상품 '상단' 배치

:애플워치 옆에 스트랩 샘플이 있는 이유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은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 트렌디어페럴]

'관련 상품'을 보여주는 목적은 쇼핑몰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막기 위해서입니다.

확인하신 것처럼 상세페이지에 '10초 이상' 머무르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이 극소수 사람중에서
'과연 몇 명이나 상세페이지 끝에 위치한 관련 상품을 보게 될까요?'

지금 쿠팡 앱을 켜서 관련 상품이 어디에 있는지 보세요.


4. 영상 컨텐츠

: '매출, 체류시간' 두마리 토끼 잡는 방법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의류 광고에서 인스타그램 릴스와 같은 짧은 영상은 필수입니다.
상세페이지에서도 영상은 구매 욕구를 가장 빠르게 높이는 방법이 되었죠.

■ 참고 칼럼: 쇼핑몰 광고부터 상세페이지 제작까지, 릴스 없으면 망합니다.

'스토리가 담긴' 썸네일에서 매력적인 이미지에 이끌린 고객이 가장 보고 싶은 건 뭘까요?

상세페이지 시작부터 모델의 핏감, 분위기, 스타일, 상품의 디테일까지.
생동감있고 현실적으로 보여준다면?

매출과 체류시간 모두 잡을 수 있을겁니다.

[영상 컨텐츠 업로드 방법]

- 인스타 피드 OR 릴스 연동
(→ 인스타그램 연동하는 방법 바로가기)
- GIF 파일 업로드
- 유튜브 연동
- 스마트폰 화면 영상 기능 활용
(→ 출처 : 슬로우앤드 상세페이지)

5. 컬러 OR 코대 갯수 늘리기

: 상상력을 계속 자극해야 고객도 스스로를 속이게 됩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출처 : 슬로우앤드]

상세페이지를 구경할 때, 스크롤을 빛의 속도로 내리는 거 다 아시죠?
(혹시 우리 상세페이지는 하나 하나 꼼꼼히 볼거라고 착각하시는건 아니시겠죠...?)

그러다 멈칫하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바로, '컬러와 코디'가 바뀐 순간입니다.

그 새로운 자극에 고객은 한 번 더 생각합니다.

"내가 이렇게 입으면 어떨까?"
"어? 내가 생각했던 그 코디인데?"
"아.. 이쁘긴 한데 컬러가 이쉽네..."
.
.

등 짧은 시간 동안 가상의 패션 모델이 되어 상상의 나래를 펼칩니다.

상상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깊어질수록, '이 상품은 매력적이야!'라고
고객 스스로 최면을 거는 강도가 높아지게 되죠.

  • 컬러가 1개일 경우 → (반드시) 2개 이상의 코디
  • 컬러가 2개 이상일 경우 → (가능하면) 2컬러 이상 + 2가지 이상의 코디

평균 체류시간이 10초도 안되는 '지루한' 상세페이지라면,
상상하는 시간이 길어도록, 고민하는 시간이 ㄴ르어나도록
컬러 또는 코디의 갯수를 늘려보시기 바랍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은 직접 만져보고 입어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썸네일과 상세페이지로 보여주는 사진과 영상이
고객이 구매할지 말지를 결정하게 하는 유일한 수단이죠.

사입부터 사진 촬영, 보정, 그 외 대표님이 어떤 노력을 하셨든 상관없습니다.
상세페이지로 보여주지 못하면 의미없는 노동이 될 뿐입니다.

아무쪼록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잘못 제작한 탓에
매출을 놓치는 일은 없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쇼핑몰 상세페이지 제작과 관련하여 더 자세한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의류 쇼핑몰, 혼자서 매출 올리는 방법

위 가이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쇼핑몰 상세 페이지 제작, 체류시간을 못잡으면 매출도 없습니다.
- 글 마치겠습니다.

댓글